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7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박근혜를 파면한다

    2017.03.11 by 미메시스TV

  • Daniel Essig

    2017.02.10 by 미메시스TV

  • 5.18 기념음반 <오월 2>

    2017.01.26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그림 광주 전시

    2017.01.02 by 미메시스TV

  • 히에로니무스 보스 그림

    2016.12.27 by 미메시스TV

  • 최근 Apple 광고

    2016.12.15 by 미메시스TV

  •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2016.11.25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애니칼럼 <The Wall>

    2016.11.22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우리가 주인이다!

    2016.11.18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분노한 100만 촛불 시민

    2016.11.14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분노한 여고생

    2016.11.07 by 미메시스TV

  • 장편 애니메이션 구상

    2016.11.03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건국대 항쟁의 함성

    2016.10.26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월미도 미군 폭격 사건

    2016.09.10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이내창 의문사 사건

    2016.08.14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YH 김경숙 사망 사건

    2016.08.08 by 미메시스TV

  • 최근 구입한 사진집

    2016.08.01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노근리 쌍굴다리’에서의 학살

    2016.07.29 by 미메시스TV

  • George Winston_December

    2016.07.26 by 미메시스TV

  • 오윤 30주기 회고전

    2016.07.23 by 미메시스TV

  • Willem van Genk

    2016.07.22 by 미메시스TV

  • 나는 갇혀 있는가

    2016.07.18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경산 코발트광산의 비극

    2016.07.17 by 미메시스TV

  • Pink Floyd 트리뷰트 공연

    2016.07.15 by 미메시스TV

  • '20만 민간인 학살' 보도연맹 관리 검사

    2016.07.15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

    2016.07.07 by 미메시스TV

  • SICAF 전승일 오토마타 초청전

    2016.07.04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문경 학살 생존자 채의진 선생"

    2016.06.27 by 미메시스TV

  • 제6회 진실의힘 인권상 - 채의진

    2016.06.23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망자의 넋을 달래는 춤사위"

    2016.06.21 by 미메시스TV

박근혜를 파면한다

피청구인은 대국민 담화에서 진상 규명에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하였으나 정작 검찰과 특별검사의 조사에 응하지 않았고, 청와대에 대한 압수수색도 거부하였습니다. 이 사건 소추사유와 관련한 피청구인의 일련의 언행을 보면 법 위배행위가 반복되지 않도록 할 헌법수호의지가 드러나지 않습니다. 결국 피청구인의 위헌․위법행위는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것으로 헌법수호의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법 위배행위라고 보아야 합니다. 피청구인의 법 위배행위가 헌법질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파급효과가 중대하므로 피청구인을 파면함으로써 얻는 헌법 수호의 이익이 압도적으로 크다고 할 것입니다. 이에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을 선고합니다.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오마이뉴스 기사보기

day by day 2017. 3. 11. 16:01

Daniel Essig

Daniel Essig 상처인가?.. 날개인가? 묘하고 강력하게 맘을 끌어 당기는 작품 작가 홈페이지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7. 2. 10. 17:02

5.18 기념음반 <오월 2>

5.18 정신계승 기념 음반

day by day 2017. 1. 26. 13:52

전승일 그림 광주 전시

2016년 12월 31일 광주 금남로 촛불집회 현장에 전시된 전승일 그림 展

전승일_전시_상영 2017. 1. 2. 13:46

히에로니무스 보스 그림

유심히 다시 보는 그림 ‘히에로니무스 보스’(Hieronymus Bosch, 1450~1516) 외 ‘융’은 그를 “그로테스크의 거장, 무의식의 발견자"라고 했다~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6. 12. 27. 15:21

최근 Apple 광고

90년대 후반.. 난 거의 모든 그림과 영상을 ‘매킨토시’에서 만들었다 ‘소수성의 확장’와 ‘소통은 뭉클한 것이다’라는 광고 전략이 돋보이는 최근 Apple 광고

day by day 2016. 12. 15. 16:56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촛불은 번져 나간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11. 25. 16:36

전승일 애니칼럼 <The Wall>

애니메이션 : 제랄드 스카페(Gerald Scarfe) KMDb 바로가기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전승일_애니칼럼 2016. 11. 22. 19:20

[역사의한컷] 우리가 주인이다!

"대한민국의 주인은 국민이다!" 전승일 대한민국 헌법 제1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대한민국의 주인은 국민이다! 촛불이 국민이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11. 18. 23:54

[역사의한컷] 분노한 100만 촛불 시민

"100만 촛불, 분노한 시민" 전승일 11월 12일 ‘#내려와라_박근혜! 3차 범국민대회’에 참가한 시민 사진원본출처: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11. 14. 20:06

[역사의한컷] 분노한 여고생

"분노한 여고생, 박근혜는 퇴진하라!" 전승일 11월 5일 ‘#내려와라_박근혜! 2차 범국민대회’에 참가한 여고생 사진원본출처: 오마이뉴스 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 대통령 중심제입니까? 최순실 중심제입니까? 죽어가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살리겠습니다! 청소년들도 나섰다! 박근혜는 퇴진하라!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11. 7. 20:05

장편 애니메이션 구상

50대 중반 안에 “장편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극장에 올리고 싶은데 ‘이미지’와 ‘스토리’의 비중과 조화가 많이 고민된다 좋아해서 자주 보는 ‘벤 샨’ 그림...

day by day 2016. 11. 3. 13:58

[역사의한컷] 건국대 항쟁의 함성

"86년 건국대 항쟁의 함성" 전승일 건국대 건물 옥상에서 투쟁하고 있는 대학생들 1986년 10월 28일, 전국 각 대학에서 모인 2천여 명의 대학생들은 건국대학교에서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을 결성하는 연합 집회를 가졌다. 당시 서슬 퍼런 전두환 독재정권에 항거하며 2천여 명이 모여 전국 조직을 결성하는 집회를 여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었고, ‘건국대 항쟁’은 민주화 운동의 전국적 확산과 결집을 위한 첫 걸음이었다. 당시 경찰은 대학 간 연합 집회를 대부분 원천봉쇄 하였는데, 이 날 아침부터 건국대에 배치된 경찰은 검문이나 학생증 검사를 하지 않고 아무런 제지 없이 학생들을 집회장으로 들여보냈다. 그리고 ‘애학투련’ 결성 선언문을 낭독하고 독재정권 화형식을 하는 순간 갑자기 대규모..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10. 26. 17:15

[역사의한컷] 월미도 미군 폭격 사건

"인천 월미도 미군 폭격 사건" 전승일 1950년 9월초 인천 월미도를 폭격하고 있는 미군 항공기 1950년 9월 15일 한국전쟁 중 국제연합(UN)군의 인천상륙작전 직전 9월 10일부터 3~4일 동안 발생한 미군의 ‘월미도 폭격 사건’은 미 해병대 소속 항공기들이 인천 월미도에 네이팜탄을 집중폭격하고 주민들을 향해 기총소사하여 월미도 거주 민간인들이 대거 집단 희생된 사건이다. 당시 미 제1해병비행단의 에 따르면 “폭격의 목적은 월미도 동쪽 지역의 전소(Burn Out) 또는 철저한 집중폭격(Saturation Bombing: 적이 있는 일정 지역을 목표로 집중적으로 무차별 폭격하는 것)으로 모든 시설을 불태우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월미도 폭격에 사용된 네이팜탄(Napalm Bomb)은 제2차 세계..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9. 10. 17:27

[역사의한컷] 이내창 의문사 사건

"중앙대 총학생회장 이내창, 27년째 의문사" 전승일 생전의 고(故) 이내창 열사 / *사진협조: 이내창기념사업회 ‘의문사진상규명에관한특별법’(제정 2000년, 폐지 2009년)에 따르면, “의문사(疑問死)는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의문의 죽음으로서, 사인이 밝혀지지 않고, 위법한 공권력의 직접·간접적인 행사로 인해 사망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사유가 있는 죽음을 말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즉, ‘의문사’는 민주화 운동과 관련해 경찰·군(軍)·국가정보원 등 국가 기관의 위법한 공권력으로 인해 사망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죽음을 가리킨다. 1989년 8월 15일, 전남 거문도 외딴 바닷가에서 주검으로 발견된 ‘이내창 의문사 사건’은 80년대 대표적인 의문사 사건이다. 당시 경찰은 “이내..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8. 14. 17:56

[역사의한컷] YH 김경숙 사망 사건

"박정희 몰락의 도화선, YH 김경숙 사망 사건" 전승일 농성 투쟁 중 사망한 김경숙 열사 1979년 8월 9일부터 8월 11일까지 가발 및 봉제품 수출업체인 의 여성 노동자 200여 명은 회사의 일방적인 폐업 조치에 항의하며 “배고파 못살겠다! 먹을 것을 달라!”는 구호를 외치며, 당시 야당인 신민당사(총재 김영삼) 건물 4층 강당에서 농성과 시위를 벌였다. 8월 11일 새벽, 경찰은 1200여 명의 병력으로 편성된 ‘101호 작전 부대’를 투입하여 강제 진압과 해산 작전에 나섰다. 진압부대는 강제 해산 과정에서 심한 욕설과 폭언을 하면서 곤봉 등 진압장구 이외에 벽돌, 쇠파이프, 의자 등 불법적인 도구까지 사용하여 농성 중이던 YH 노조 여성 노동자, 신민당 의원 및 당직자, 그리고 취재기자들까지 무..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8. 8. 12:06

최근 구입한 사진집

최근 구입한 사진집

day by day 2016. 8. 1. 16:20

[역사의한컷] ‘노근리 쌍굴다리’에서의 학살

"노근리 쌍굴다리에서의 학살" 전승일 미군에 의한 대량 민간인 학살이 발생한 노근리 쌍굴다리 1999년 9월 30일, 미국 통신은 1950년 7월말 미군에 의해 한국의 한 철도 굴다리에서 400여 명에 달하는 민간인들이 학살당했다고 보도하였다. 통신은 피해자들은 대부분 부녀자, 어린이, 노인이었다고 전했다. 통신이 노근리 학살 사건을 보도하기 전까지 미국 정부는 사건의 존재를 꾸준히 부정하였고, 한국 정부도 이에 관심을 갖지 않았었다. 1950년 7월말, 충북 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일대에서 미군에 의한 대량 민간인 학살이 발생한지 66년이 되었다. 당시 1차 학살은 철길을 따라 피난하던 민간인들을 향한 미군 항공기 공중폭격과 기총소사로 인해 발생했다. 여기서 간신히 살아남은 사람들은 미군의 공격을 피해 ..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7. 29. 18:35

George Winston_December

음악 2016. 7. 26. 22:13

오윤 30주기 회고전

오윤 30주기 회고전 가나아트센터 바로가기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6. 7. 23. 13:01

Willem van Genk

Willem van Genk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6. 7. 22. 17:41

나는 갇혀 있는가

나는 갇혀 있는가 나는 세상과 호흡하는가 어떤 틈이 세상과 나를 연결해준다

day by day 2016. 7. 18. 23:08

[역사의한컷] 경산 코발트광산의 비극

"경산 코발트 광산의 비극" 전승일 경산 코발트광산에서 쏟아져 나온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골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이 대전에 머무는 동안 바로 그 곳에서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일어났다. 당시 국군과 경찰은 6월 28일부터 7월 17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적어도 4900여 명에서 7000여 명의 대전 형무소 재소자 및 보도연맹원들을 산내 골령골로 끌고 가서 집단학살한 것이다. 이는 아무런 법적 절차 없이 불법적으로 이루어진 반인도적인 집단학살 사건이었다. 그리고 연이어 1950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경북 경산에서 또 다시 대규모 민간인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국군과 경찰은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재소자들과 예비검속된 대구·경북 국민보도연맹원 등 3500여 명에 이르는 민간인들을 경산시 ..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7. 17. 12:51

Pink Floyd 트리뷰트 공연

The World's Greatest Pink Floyd Show Brit Floyd

음악_Pink Floyd 2016. 7. 15. 13:22

'20만 민간인 학살' 보도연맹 관리 검사

“경찰, 보도연맹원 학살 주도 군에서 시켰으니까 했겠지” ‘20만 양민학살’ 보도연맹 관리 검사 육성증언 들어보니 시민단체 선우종원씨 인터뷰 공개 “경찰이 주도…군에서 시켰겠지” 무고한 양민 학살 자행 고백 2기 진실위·특별법 제정 필요성 한국전쟁 충북유족회원 등이 21일 충북엔지오센터에서 국민보도연맹 조직·관리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선우종원씨의 보도연맹 관련 증언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한국전쟁 충북유족회 등은 선우씨의 증언 영상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충북역사문화연대 제공 “의식분자라기보다 의식 없는 것들이 많았지. 공산당이 뭔지 압니까. 모르고 든 것들이 많지….” 한국전쟁 때 수많은 희생자를 낸 국민보도연맹을 조직·관리한 것으로 알려진 ‘반공 검사’ 선우종원(1918~2014)씨의 육성 증언이 나..

자료/자료_제노사이드 2016. 7. 15. 10:23

[역사의한컷]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 전승일 87년 7월 9일 이한열 열사 ‘민주국민장’과 복원된 ‘운동화’ 1987년 6월 9일 교문 앞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직격 최루탄에 머리를 맞고 쓰러진 이한열 열사는 한 달여 동안 사경을 헤매다 7월 5일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뇌손상과 폐렴에 따른 심폐기능정지로 끝내 숨을 거두었고 100만여 명의 추모 인파가 모인 가운데 7월 9일 ‘민주국민장’이 치러졌다. ‘李韓烈군 永訣... 추도人波 100만’이라는 제호의 87년 7월 10일자 1면은 동판으로 제작되어 배은심 어머니께 전달되었고 이 신문 동판은 현재 에 전시되어 있다. 87년 당시 연세대 시위 현장에서는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 한 쪽이 발견됐다 은 2015년에 이 낡고 심하게 훼손된 운동화를 ‘김겸미술품보존연구소’에 의..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7. 7. 20:21

SICAF 전승일 오토마타 초청전

"오토마타, 상상에 생명을 불어넣다" 전승일 초청전 7월 6일부터 10일까지 에서 제 오토마타 전시 합니다 장소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알림 1관’ 입니다 SICAF 2016 바로가기 전승일 인터뷰 ◆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면서 오토마타를 만들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2004년에 ‘MOT’라는 인디밴드의 노래 를 뮤직 비디오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동안 작업해왔던 2D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인형을 직접 만들어서 스톱 모션 방식으로 촬영한 작품이었습니다. 그런데 작업의 과정과 결과를 잘 생각해보니 실제로 인형은 움직인 적이 없고, 정지 동작 사진을 ‘프레임 바이 프레임’으로 연결한 영상 속에서만 인형이 움직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작품의 제작 동기와 출발점이 “인형을 움직이자!”..

전승일_전시_상영 2016. 7. 4. 18:23

[역사의한컷] "문경 학살 생존자 채의진 선생"

"문경 민간인 학살 생존자 채의진 선생" 전승일 ‘(재)진실의 힘’은 6월 26일 “유엔 고문 생존자 지원의 날”을 맞이하여 문경 석달마을 민간인 학살 사건의 생존자 채의진 선생과 정희상 기자를 제6회 수상자로 선정했다 문경 민간인 집단학살 사건은 1949년 12월 24일, 86명의 무고한 민간인들이 국군에 의해 무참히 학살당한 한국전쟁 이전의 대표적인 반인도적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당시 민간인 학살 희생자 86명 중 42명이 여성이었으며 22명은 열 살 이하의 어린이였다 그리고 5명은 한 살의 아기였다 당시 열세 살이던 채의진 선생은 어머니, 형, 누나를 포함하여 무려 9명의 가족이 학살당했다 채의진 선생은 평생 동안 민간인 학살 진실규명 운동을 해왔으며 정희상 기자는 80년대 말부터 언론을 통해 한국..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27. 12:12

제6회 진실의힘 인권상 - 채의진

제6회 진실의힘 인권상 결정문 잘 못된 시대를 만난 국민은 불행합니다. 잘 못된 국가를 만난 국민도 불행합니다. 분단과 전쟁의 역사는 우리와 똑같은 감정을 가진 숱한 사람들, 우리와 똑같은 가족을 가진 수많은 국민들을 까닭도 이유도 없는 죽음의 질곡 속에 난폭하게 몰아넣었습니다. 이어진 독재와 탄압의 칼날은 살아남은 유족들에게 죽음보다 더한 고통과 고문을 강요하였습니다. 우리는 한국전쟁의 시기에 온 한반도가 공산-자유, 좌-우 이념대결의 참혹한 폭풍 속에 놓였었음을 기억합니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목숨조차 부지하기 어렵던 그 무도한 시대, 상상도 할 수 없는 끔찍한 살상이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전 한반도가 살상의 나락으로 빠져들기 이전에 이미 제주, 여수순천, 문경 석달마을에서 ‘무고한’ 집단학살..

자료/자료_제노사이드 2016. 6. 23. 18:56

[역사의한컷] "망자의 넋을 달래는 춤사위"

"망자의 넋을 달래는 춤사위" 전승일 87년 6월 민주항쟁은 박종철 고문살인 조작·은폐 규탄 투쟁에서 시작되어 전두환의 반역사적 4·13 호헌 조치에 맞서 민주헌법과 대통령 직선제 쟁취를 향한 4·19 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시민항쟁'이었다 이 6월 항쟁의 '절정'에서 망자(亡者)의 넋을 달래는 진혼굿을 벌인 한 춤꾼이 있었다 바로 박종철 열사와 직격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에서 처연하게 춤사위를 펼친 이애주(서울대 사범대학) 교수이다 승무 예능 보유자 한영숙씨로부터 사사받은 이 교수는 승무에서 우러난 경기도당굿거리 진혼굿 춤을 통해 열사의 원혼을 위무하고 시대의 아픔과 함께 했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21. 11: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