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인혁당 피해자들의 ‘빚고문’

    2017.09.03 by 미메시스TV

  •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2017. 5. 16)

    2017.06.21 by 미메시스TV

  • 화가 홍성담 그림과 글 모음집

    2017.04.20 by 미메시스TV

  • SBS 이내창 열사 의문사 사건

    2017.03.26 by 미메시스TV

  • 고문후유증 화가 이상호

    2015.09.07 by 미메시스TV

  • 고문 생존자 "국가가 내 꿈을 죽여 버렸다" (오마이뉴스 / 5.16)

    2015.05.16 by 미메시스TV

  • 책 <고문·폭력 생존자 심리치료>

    2015.04.09 by 미메시스TV

  • 인혁당 사건 40주년

    2015.04.08 by 미메시스TV

  • 책 <고문, 인권의 무덤>

    2015.04.05 by 미메시스TV

  • '울릉도 간첩단 사건' 고문피해자 최규식 선생

    2015.03.13 by 미메시스TV

  • 국가폭력 생존자 치유를 위해

    2015.03.03 by 미메시스TV

  • 시노트 신부님 '선종'

    2014.12.26 by 미메시스TV

  • 세계 최장기수 '김선명' 선생님

    2014.07.10 by 미메시스TV

  • 학살자 이승만

    2014.06.13 by 미메시스TV

  • 고문피해자의 정신과적 진단 실태

    2014.04.07 by 미메시스TV

  • 책 <사법살인 - 1975년 4월의 학살>

    2014.03.29 by 미메시스TV

  • 기억과의 전쟁이다

    2014.03.23 by 미메시스TV

  • 광주트라우마센터장 '강용주' 인터뷰

    2014.03.11 by 미메시스TV

  • 고문피해자 인권상황 실태조사(2011)

    2014.03.08 by 미메시스TV

  • 대한민국 국가폭력

    2014.03.05 by 미메시스TV

  • MBC "인혁당 사건 다큐"

    2014.03.01 by 미메시스TV

  • 광주트라우마센터 국가폭력 치유 심포지엄 개최

    2013.12.21 by 미메시스TV

  • <야만시대의 기록>(박원순)

    2013.07.05 by 미메시스TV

  • UN 고문생존자 지원의 날(6.26)

    2013.06.26 by 미메시스TV

  • 광주인권상 수상 ‘이호스’ 방한

    2013.05.23 by 미메시스TV

  • 고문피해자 심리후유증

    2013.05.08 by 미메시스TV

  • 마음 치유 - 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04.19 by 미메시스TV

  • 강용주 광주 트라우마 센터장 인터뷰

    2012.07.23 by 미메시스TV

  •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오수성 교수)

    2012.07.08 by 미메시스TV

  • “국가폭력의 트라우마, 사회적 지지로 풀어야”

    2012.07.06 by 미메시스TV

인혁당 피해자들의 ‘빚고문’

국정원이 지운 월 205만원 이자, 인혁당 피해자의 ‘빚고문’ 한겨레 기사 원문 보기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7. 9. 3. 14:53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2017. 5. 16)

관련기사 보기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7. 6. 21. 18:40

화가 홍성담 그림과 글 모음집

화가 홍성담 그림과 글 모음집 알라딘 바로가기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7. 4. 20. 11:49

SBS 이내창 열사 의문사 사건

SBS 바로가기 전승일 그림 바로가기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7. 3. 26. 13:19

고문후유증 화가 이상호

“건강해져 해마다 옛 망월동서 걸개그림전 열고파” 화가 이상호씨. 사진 최성욱 다큐감독병마 속 첫 개인전 민중미술가 이상호씨 두 평 반 크기의 방에 놓인 목판이 눈에 띄었다. 지난 3일 아침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선덕사 3층 작업실에서 만난 화가 이상호(55)씨에게 목판화 이야기부터 물었다. 1987년 6월 항쟁 당시 완성한 (72×54㎝)라는 작품이다. 낫을 들고 죽창을 만드는 민초의 눈에 시대의 분노가 녹아 있다. “밤낮없이 시위 현장에서 싸우고 시간이 날 때마다 작업실로 가 나무에 새겼지요.” 이씨는 10~16일 광주시 동구 디에스갤러리에서 ‘역사의 길목에 서서’라는 주제로 첫 개인전을 연다. (1987) 등 판화와 걸개그림뿐 아니라 (1994), (2014) 같은 회화 등 모두 40여점의 작품을..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9. 7. 09:01

고문 생존자 "국가가 내 꿈을 죽여 버렸다" (오마이뉴스 / 5.16)

고문 생존자 "국가가 내 꿈을 죽여 버렸다"재판과정에 참여하는 고문생존자 트라우마와 치유 국제회의 "고문 생존자에게 재판 과정은 구체적 고통의 재현." ▲ 캄보디아 TPO의 Chariya Om이 16일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에서 '크메르루즈 생존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 크메르루즈 재판과 관련하여'를 주제로 발제하고 있다.ⓒ 정영민관련사진보기 강영신 전남대 심리학과 교수는 16일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광주트라우마센터 주관)에서 "재판과정에서 고문피해자들의 심리적인 재외상이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재판과정에서의 고문피해자들의 심리적 경험을 말하는 게 이 회의가 최초의 시도이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발제를 시작했다. 강 교수는 "어떤 이들은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가 어느 ..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5. 16. 19:53

책 <고문·폭력 생존자 심리치료>

또 한권의 귀한 책이 도착했습니다 "고문은 무지막지한 인간 행동 중의 한 가지이다.동물에게도, 원시인간에게서도, 문명 이전 시대에서도 유래가 없는고문은 사회 질서에 뿌리를 두는 계획적인 행동이다.그것은 권력의 전시물로서 개인의 판단력을 파괴하고자 한다.그 결과, 고문은 피해자의 인성을 파괴한다.비인간적인 환경 속에서인간으로 남기란 고문 생존자에게 엄청난 도전이다..." 페터 엘사스 Peter Elsass 지음 / 최현정 옮김 / 2009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페터 엘사스 코펜하겐 대학의 임상심리학 교수로 임상심리학, 신경심리학, 문화심리학 분야에서115편의 연구물과 15권의 저서를 남겼다.그는 1973년 부터 라틴 아메리카의 소수 민족을 연구하면서인디언 부족에 25번 이상 방문하여 이들의 '생존투쟁'을..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4. 9. 22:28

인혁당 사건 40주년

31살의 나이에 '박정희 정권'에 의해.. 사형당한 '고 여정남 열사' 올해로 소위 '인혁당 재건위 사건'과 '민청학련 사건'이 40년을 맞았습니다 박정희 정권의 대표적인 용공조작사건으로 불리는 두 사건으로8명의 혁신계 인사들이 대법원 판결(75.4.8) 18시간 만인이튿날 새벽 서대문형무소 사형장에서 억울하게 숨졌습니다 8인 열사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던 날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사법자협회에서는사형이 최종 확정된 4월 8일을 '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규정하였습니다.. ▶관련기사: http://omn.kr/chu3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4. 8. 20:10

책 <고문, 인권의 무덤>

(한겨레출판사 / 2004) 작품 구상과 공부를 위해 예전부터 찾던 책인데.. 뜻밖에 '알라딘 중고'에서 찾았다~ 단번에 주문~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4. 5. 22:50

'울릉도 간첩단 사건' 고문피해자 최규식 선생

"홀라당 벗겨 고무호스로 후려치는디..."[인터뷰] '울릉도사건' 고문피해자 최규식 선생 "진실 규명 하루빨리 돼야" ▲ 1974년 박정희 유신시절 이른바 '울릉도 사건'으로 고문 피해를 당한 최규식씨가 지난 20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 암센터에서 와의 인터뷰 중 "김대중-노무현 민주정부 10년간 과거사 청산작업이 시작되긴 했지만 아직도 제대로 된 과거청산은 멀었다고 생각하는 그는 억울한 조작간첩사건에 대한 진실규명이 어서 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성호관련사진보기 ▲ 울릉도 간첩단 사건에 연루된 47명이 재판을 받고 있다. 이 사건은 박정희 유신정권에서 만든 최대 조작간첩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관련사진보기 [기사 수정 : 3일 오후 10시 39분] "이번 총선은, 음. 박근혜..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3. 13. 22:58

국가폭력 생존자 치유를 위해

인권이야기 (4) 국가폭력 생존자 치유를 위해 한걸음 더 나아가야할 때 최현정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고문을 비롯한 국가폭력의 피해가 이 사회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부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어둡고 차가웠던 그 당대부터 이러한 알림이 시작되었다는 것은 사실 대단한 일로 보입니다. 이어서 1990년대 이후에는 고문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보다 커지고 고문의 근절을 촉구하는 사회적 움직임이 거세집니다. 민주화와 과거 청산에 대한 인식에 힘입어, 고문 피해 해결에 대한 요구가 사회적, 정치적 움직임으로 지속됩니다. 그러나 고문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그 개개인 삶의 수만큼이나 서로 다른 모습입니다. 그래서 사회적 움직임은 거세더라도 이것이 개인 한 사람의 삶에 대한 깊은 치유까지 연결되지 못할..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3. 3. 21:39

시노트 신부님 '선종'

“약자들 편에서 진실 알린 신부님”…인혁당 사건 유족 등 빈소에 ‘빼곡’ 이정숙(고 이수병씨 아내·오른쪽), 여규환(고 여정남씨 동생·왼쪽)씨 등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형 판결 피해자 유족들이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제임스 시노트 야고보(한국이름 진필세) 신부의 빈소에서 조문을 한 뒤 눈물을 훔치며 나오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시노트 신부 조문행렬“사형 집행 직후 남편 주검을 찾아와 고문 흔적을 사진으로 찍었어요. 그때 키 크고 몸집이 좋았던 신부님이 대문을 지켜줬어요. ‘걱정하지 마라’, ‘하느님은 착한 사람을 먼저 데려가신다’고 위로해주셨던 기억이 선한데….”24일 오후 이정숙(69)씨는 제임스 시노트 야고보(85·한국이름 진필세)..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12. 26. 12:20

세계 최장기수 '김선명' 선생님

0.75평 독방에서 무려 45년(1951~1996)간 인고(忍苦)의 수감생활을 하신 세계 최장기수 '김선명' 선생님 6.15 남북공동선언의 일환으로 2000년 9월.. 62명의 "비전향 장기수" 동지들과 함께 휴전선을 넘어 북녘으로 '송환'되셨습니다~ 인간의 존엄과 신념을 지켜내신 "비전향 장기수"들의 남녘 생활을 기록한 '신동필' 님의 사진집 는.. 2001년 발간되었습니다~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7. 10. 21:56

학살자 이승만

알고 계시지요? '한국전쟁'이 터졌을때..수도 서울을 버리고 제일 먼저 도망간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지요 뿐만 아니라 1950년 6월 28일..피난민으로 가득찬 한강 다리 폭파 명령을 내린 사람도 바로 "이승만"이지요 아비규환, 당시 한강 다리 위에 몇명이 있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적게는 500명, 많게는 1500명이 폭파로 끊어진 다리 위에서 비참하고 억울하게 죽어 갔습니다.. '짐승'이 "인간"을 학살한 것입니다 (한겨레 / 5월 26일 / 한홍구 교수 기고 / "세월호의 악마들, 대한민국의 악마들" 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6. 13. 20:51

고문피해자의 정신과적 진단 실태

고문 후유증은 만성적인 것으로 지속적인 치료적 관심을 요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특히 정신과적 진단에 관한 국제 연구는일반적으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집중되고 있다. 고문과 투옥을 경험한 피해자의 연구를 살펴볼 때, PTSD의 평생 유병률은 60%, 시점 유병률은 30%로 나타났다PTSD뿐 아니라 우울, 범불안, 신체화 장애도 주요하게 주목받았으며, 이들 장애의 공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최초 고문피해 이후 경과된 시간은 평균 '25.48년'으로최소 1년에서 최대 38년으로 나타났다 고문이 자행된 불법 구금일수는 최소 1일에서 최대 300일까지 평균 '32.52일'이었고고문 이후 투옥된 일수는 최소 0일에서 최대 6170일까지 평균 '1050...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4. 7. 00:43

책 <사법살인 - 1975년 4월의 학살>

(천주교인권위원회 엮음 / 학민사 / 2001) 책의 뒤표지에는 소위 '인혁당 사건'이라 불리는1975년 4월에 집행된 사법살인의 희생자 8명의 사진이 실려 있다. 민청학련, 그리고 인민혁명당 사건... 참으로 오랜 시간 동안 입에 올리지 못했지만많은 이들의 가슴에 깊은 한으로 남았던 야만적 폭거였다. 인간의 존엄성과 보편적 권리를 수호하는 활동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천주교인권위원회'가 당시의 사건을 꼼꼼하게 재구성하고 기록하였다. 군사독재정권은 유신에 저항하는 학생과 민중들의 궐기를 민청학련의 책동으로 돌리고북한의 지령에 따라 학생들을 조종하는 '인혁당'이라는 가공의 조직을 만들었다. 특히 대법원 확정판결 후 불과 하루도 지나기 전에8명의 생명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한 인혁당 사건은 '사법사상 암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29. 21:46

기억과의 전쟁이다

(김동춘/사계절출판사/2013) "학살,고문 같은 가공할 만한 '국가폭력'은 피해자에게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긴다 학살은 단순히 사람의 생명권을 박탈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남은 가족들의 삶의 기반마저 송두리째 파괴하고, 인간으로서의 자존감과 삶의 의지를 박탈한다 '국가가 저지르는 범죄'는 학살과 인권침해의 피해 당사자에게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목격한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의 건강한 의식과 사회 참여 의지를 마비시키고 위축시킨다" (저자 서문 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23. 19:53

광주트라우마센터장 '강용주' 인터뷰

[이털남2 - 342회] "광주"의 강용주를 만나다 1985년 대학생 시절.. "구미유학생간첩단" 조작사건에 연루되어무기징역 선고.. 그후 14년 동안 감옥살이 그가 국가권력이 무자비하게 휘두른 폭력의 피해자에서그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의사'로 되돌아왔다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11. 08:16

고문피해자 인권상황 실태조사(2011)

다운로드 코펜하겐 고문생존자 재활센터에서 활동하는 페터 엘사스(Peter Elsass)는 고문의 핵심은 "피해자의 정체성을 파멸"시키고 "이러한 좌절과 인격의 파괴 안에 고통"을 각인시키는 것이라며 고문피해자에 대한 구제와 지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위 첨부 자료 중에서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8. 21:09

대한민국 국가폭력

만화로 보는 "대한민국 국가폭력 연대기" 구상을 위해 새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5. 23:29

MBC "인혁당 사건 다큐"

MBC "이제는 말할수 있다" (2005. 4. 3 / 제89회) 오는 9일이면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이 일어난 지 30년이 된 다. 그러나 이 사건이 2002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로부터 ‘고문 에 의한 사법살인’으로 규명되었음에도 인혁당 관계자들의 명예회 복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서 는 인혁당 사건 30주년을 맞아 인혁당 구명운동에 앞장섰던 외국 인들의 시각에서 인혁당 사건을 재조명하려 한다. * 한국 민주화의 벗들, 월요모임(Monday Night Group) 1972년 한국에 거주하고 있던 50여 명의 외국인들은 학생들의 잇 따른 구속, 언론 자유에 대한 억압, 인권 유린 등 한국의 사회 문제 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이에 ‘월요모임’이라고 칭해지는 외국인들 의 모임을 만들고 매주..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1. 11:02

광주트라우마센터 국가폭력 치유 심포지엄 개최

광주트라우마센터 국가폭력 치유 심포지엄 개최 광주시는 17일 오후 1시30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광주트라우마센터(센터장 강용주) 주관으로 국가폭력·고문 생존자의 재활에 대한 권리와 국가의 의무에 관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심포지엄에서는 국가폭력·고문 생존자의 구제와 재활에 관한 법적인 측면과 의료적인 측면에 대해 4명의 국제 전문가와 2명의 국내 전문가가 주제발표할 예정이다. 오슬로대학 심리학과 교수이면서 유럽고문방지위원회 위원인 노라 스베아스 교수 등 4명의 국제 전문가는 고문생존자 재활 및 국가의 의무에 관한 국제법 규범, 유럽과 미국의 정책 및 사례를 발표한다. 공주국립병원 이영문 원장과 숙명여대 법대 국제법 전문인 정경수 교수는 한국의 국가폭력 현황과 피해자 구제를 위한 법과 제도에 대해..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 12. 21. 01:20

<야만시대의 기록>(박원순)

"고문은 순간이지만 그 상처는 영원히 남는다. 어떤 고문 희생자는 하루 이틀의 고문 때문에 심각한 마음의 상처를 입고 마침내 치유할 수 없는 정신질환을 평생 안고 살아가기도 한다" - (박원순, 2006)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 7. 5. 01:51

UN 고문생존자 지원의 날(6.26)

매년 6월 26일은 "국제 고문생존자 지원의 날(United Nations Day in Support of Victims of Torture)" 입니다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Council for Torture Victimshttp://www.irct.org/ 진실의 힘http://www.truthfoundation.or.kr/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 6. 26. 04:05

광주인권상 수상 ‘이호스’ 방한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 경험 배우고 싶어” 마르코스 카리(26·왼쪽 두번째)와 대외협력담당 훌리아 파로디(25·왼쪽 세번째). 사진 광주트라우마센터 제공광주인권상 수상 ‘이호스’ 방한 “5·18, 아르헨 코르도바 학살 흡사”“국가폭력 희생자의 가족과 고문 생존자의 고통을 줄이는 치유 프로그램을 배우고 싶습니다.”19일 오전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광주트라우마센터. 아르헨티나 인권단체 ‘아체·이·호타·오·에세’(HIJOS·이하 이호스·망각과 침묵에 대항해 정체성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아들딸들)의 공동대표인 마르코스 카리(26·사진 왼쪽 둘째)와 대외협력 담당 훌리아 파로디(25·왼쪽 셋째)는 광주트라우마센터의 집단상담실·물리치료실 등을 돌아보며 이렇게 말했다. 이호스는 1976~83년 아르헨티나 군부독재..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 5. 23. 02:18

고문피해자 심리후유증

(박원순, 역사비평사> 중에서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 5. 8. 01:16

마음 치유 - 국가폭력 트라우마

국가 폭력 트라우마 이년 전 팔월의 어느 날, 나는 꼬박 이틀을 전북 부안에 있었다. 젊은 시절, 채석강으로 여행을 갔던 일 외에 내가 부안을 자세히 알기 위해 그곳을 찾은 건 그때가 처음이었다. 고작 이틀로 부안의 무엇을 알수 있으랴 만은 내가 부안에 머물 수 있는 시간은 겨우 이틀이었다. 이틀 동안 나는 부안을 들여다보고 그곳 사람들의 상처를 읽어내서 글로 써달라는 요청을 받은 터였다. 부안으로 귀농한 지인도 만날 겸 가벼운 맘으로 들러보자 맘먹었지만 부안에 있는 이틀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부안은 상처가 깊게 깔린, 그래서 그 상처가 언제 해일처럼 밀려와 부안을, 아니 어쩌면 이 나라 전체를 덮칠지 모를 무서운 땅이었다. 국가 인권위원회에서는 국가 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진단하고..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3. 4. 19. 01:24

강용주 광주 트라우마 센터장 인터뷰

최연소 비전향 장기수, 그의 마르지 않은 눈물 [정치경영연구소의 '自由人'] 강용주 광주 트라우마 센터장 기사입력 2012-07-20 오전 11:37:03 "'내 영혼에 금이 가버렸구나...'(눈물)" 말로만 들었던 광주민주화항쟁, 그 현장에 있었던 이를, 더구나 마지막 날까지 총을 들고 싸웠다는 이를 만난 것은 처음이었다. 그래서 그에게 물었다. "18살짜리 고3이 그 이후의 생을 살아가기는 너무나 힘들었다. 30년이 지난 지금도 나는 내 영혼이 쨍하고 금가는 소리를 들은 그때에 갇혀 살고 있다." 그 말을 하고 한동안 말을 잇지 못하고 울었다. 그에게 고통스러운 질문일 것을 뻔히 알면서도 이 질문을 한 내가 독하다 원망스러울 만큼. 마지막 순간 두려움에 총을 버리고 도망갔던,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에..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2. 7. 23. 19:50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오수성 교수)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2. 7. 8. 20:15

“국가폭력의 트라우마, 사회적 지지로 풀어야”

“국가폭력의 트라우마, 사회적 지지로 풀어야”[인터뷰] 인권센터 ‘사람․마음’ 상담가 최현정 씨 미행당하고 고문당하고…. 민주화 이후 더 이상의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믿음과는 달리 이명박 정부의 민간인 사찰은 국가폭력이 일상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임을 인식하게 했다.국가기관에 의한 폭력뿐만 아니라 정리해고, 가정폭력 등이 난무한 사회에 사는 현대인들에게 폭력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다. “이런 말조차 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여론이 집중돼야 한다”고 말한 방송인 김제동 씨의 말처럼 이런 일을 겪고도 사회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이들이 태반이라는 사실이다.인권센터 ‘사람·마음’은 이런 이들을 사회로 끌어내고 지원하기 위해 세워졌다. 상근 상담가로 활동 중인 최현정(31·여)씨는 “..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2. 7. 6. 22:40

추가 정보

인기글

  1. -
    -
    4.3 연작화 <동백꽃 지다>(강요배)

    2012.01.20 00:53

  2. -
    -
    벤샨 (Ben Shahn)

    2014.08.01 12:40

  3. -
    -
    히에로니무스 보스 그림

    2016.12.27 15:21

  4. -
    -
    펠릭스 누스바움 <수형자>

    2015.02.22 19:47

최신글

  1. -
    -
    전승일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프리즘> 여수국제미술제 상영

    전승일_전시_상영

  2. -
    -
    전승일 DV 시절

    day by day

  3. -
    -
    오토마타와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 전승일 (07.21)

    전승일_인터뷰_기사

  4. -
    -
    전승일 감독 <금정굴 이야기> 크라우드 펀딩 종료 (07.28)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