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archives

  • 책 <살아남은 아이>

    2013.04.07 by 미메시스TV

  • <두 개의 문> 배급위원단, 834명 희망 파수꾼

    2012.07.05 by 미메시스TV

  • 용산참사 다큐 <두개의 문> 매진 돌풍

    2012.07.04 by 미메시스TV

  • <두 개의 문>의 흥행은 계속되어야 한다

    2012.07.04 by 미메시스TV

  • 영화 <작은 연못>

    2012.06.21 by 미메시스TV

  • 4.3 연작화 <동백꽃 지다>(강요배)

    2012.01.20 by 미메시스TV

책 <살아남은 아이>

전규찬, 한종선, 박래군 지음 / 문주 / 2013 책소개 인권이 끝나는 곳에서 지옥은 시작된다 형제복지원 사건. 상상할 수조차 없는 폭력과 인권유린. 1987년 폐쇄될 때까지 12년간 복지원 자체 기록으로만 513명이 사망하였고, 다수의 시체가 의대에 팔려나가 시신조차 찾지 못한 사건. 가히 한국판 아우슈비츠라 할 수 있는 이 사건은 전두환 정권의 폭압과 87년 민주화 투쟁의 열기 속에 묻혀 버렸고, 끝내는 국가에 의해 면죄부가 발행된다. 하지만 복지원 피해자들은 여전히 고통 속에 살고 있다. 9살 종선은, 1984년 12살이던 누나와 함께 복지원에 끌려간다. 그로부터 3년. 아이는 지옥을 경험한다. 1987년 복지원이 폐쇄된 후에도 ‘짐승의 기억’은 그의 삶을 유린한다. 그의 누나와 술 취해 잠자다 ..

archives/여러장르예술 2013. 4. 7. 03:21

<두 개의 문> 배급위원단, 834명 희망 파수꾼

834명 희망 파수꾼 “용산 진실 뭔지 ‘두 개의 눈’ 떠주오” [송기자·조피디의 엔딩크레디트 ‘세 줄 밑’] ‘두 개의 문’ 배급위원단 송호진 기자 조소영 피디 배급위원들이다. 김영희씨만 웃었다. “교도소에서 남편이 신문에 나온 사진 보면 좋아할 거예요.” 용산참사 당일 망루에 올랐다가 구속된 남편은 대구교도소에 수감중이다. 용산참사 유가족 전재숙(고 이상림씨 부인)씨와 영화 포스터에 얼굴을 기부한 최규석(만화가)씨, 김상우(청년지식인밴드 더 가라오케스 리더)씨가 각각 글자판을 들었다. [송기자·조피디의 엔딩크레디트 ‘세 줄 밑’] ‘두 개의 문’ 배급위원단 ‘이쁜이’랑, 이 녀석이 낳은 강아지들이 있는 힘껏 꼬리를 흔들었다. 해장국 식당 일을 마치고 폐허가 되다시피 한 마을 집터 사이로 걸어오는 ‘안..

archives/사회적제작_배급 2012. 7. 5. 21:19

용산참사 다큐 <두개의 문> 매진 돌풍

용산참사 다큐 ‘두개의 문’ 매진 돌풍 “개봉 이후 하루하루가 기적 같다” 16개관서 개봉…4일만에 5900여명 독립영화 최단기간 1만관객 넘을듯 야당·아이돌팬 등 단체관람 이어져 차분한 시선으로 사건 실체 재구성 홍지유 감독 “특사·국정조사 계기로” 송호진 기자 용산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을 보기 위해 24일 오후 관객들이 서울 종로 신문로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의 극장 안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23일 저녁 서울 종로구 신문로의 민간 독립영화 전용극장 ‘인디스페이스’. 110석을 꽉 메운 관객은 상영 직후 이어진 ‘감독과의 대화’에서도 자리를 뜨지 않았다. 역시 매진된 다음 회차의 상영을 기다리던 관객들까지 미리 들어와 극장 뒷줄에 서서 들을 정도였다...

archives/사회적제작_배급 2012. 7. 4. 22:51

<두 개의 문>의 흥행은 계속되어야 한다

'두 개의 문'을 열자 의 흥행은 계속되어야 한다 김덕진 (andyjoy) 기자 영화 의 배급위원, 코디네이터, 출연자이자, 제작사 연분홍치마와 배급사 시네마달을 사랑하는 벗으로서, 난 이 더 잘 되고 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믿는다. 네이버나 다음에 와서 엉터리 평점을 주어 별점을 떨어뜨리고 유치한 욕설을 내뱉어 관계자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이들이 거슬렸던 것이 사실이다. 혹시 흥행에 지장을 주지는 않을까 걱정을 하기도 했다. 6월 21일 개봉한 이래 8일간 매일 1000명 이상의 관객이 들며 독립영화 사상 유래없는 흥행을 이어가던 중, 어제(29일) 990명의 관객이 들어 걱정이 깊어갔다. 그런데 오늘(30일) 오후 2시에 이미 1100명이 넘었다. 오늘 개봉 이래 최다관객이 들지 ..

archives/사회적제작_배급 2012. 7. 4. 22:24

영화 <작은 연못>

한국전쟁 60년에 바치는 헌정영화 142명의 배우, 229명의 스태프들이 8년 동안 노개런티로 만든 역사 오승주 (dajak97) 기자 ▲ 은 인류사의 부끄러운 기록 가운데 하나인 사브라-샤틸라 학살사건 (1982년 9월16일)를 학살에 참여한 당사자인 이스라엘 인의 눈으로 그린 것이 특색이다. ⓒ Waltz with Bashir, 2008 바시르와 왈츠를 '망각된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다. 정보의 홍수 속에 살면서 중요한 역사적 사실들이 사람들의 뇌리에 사라지고 있다. 이명박 정권 이후 '전두환 시절'로 돌아간 것 같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도, 실제로는 전두환 시절에 어떤 일이 벌어졌고, 어떤 것을 잊어서는 안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급기야 고등학교 역사 과목도 수능 시험의 선택 과목으로 추락..

archives/여러장르예술 2012. 6. 21. 13:28

4.3 연작화 <동백꽃 지다>(강요배)

동백꽃 지다 - 강요배가 그린 제주 4.3 강요배(지은이) / 김종민 / 보리 / 2008 제주 4.3의 전 과정을 그림으로 보여 주는 화집으로 조국 분단을 막고, 완전한 해방을 이루기 위해 한라산에 올랐던 제주 민중들의 투쟁과 처참했던 민간인 학살의 현장을 화가 강요배가 되살렸다. 그림과 함께 4.3을 겪은 제주 사람들의 증언을 '제주 4.3 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의 전문 위원 김종민이 정리해 실었다. 1989년부터 1992년까지 3년 동안 완성한 제주 민중항쟁사 연작 그림이다. 그림은 모두 6부로 1부에서 5부까지 나오는 그림 51점은 4.3 항쟁의 전 과정을 시간 순으로 표현했다. 6부에 있는 그림 8점은 1992년 이후에 그린 것으로 4.3에 대한 작가의 느낌을 표현한 추상..

archives/여러장르예술 2012. 1. 20. 00:53

추가 정보

인기글

  1. -
    -
    4.3 연작화 <동백꽃 지다>(강요배)

    2012.01.20 00:53

  2. -
    -
    벤샨 (Ben Shahn)

    2014.08.01 12:40

  3. -
    -
    히에로니무스 보스 그림

    2016.12.27 15:21

  4. -
    -
    펠릭스 누스바움 <수형자>

    2015.02.22 19:47

최신글

  1. -
    -
    전승일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프리즘> 여수국제미술제 상영

    전승일_전시_상영

  2. -
    -
    전승일 DV 시절

    day by day

  3. -
    -
    오토마타와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 전승일 (07.21)

    전승일_인터뷰_기사

  4. -
    -
    전승일 감독 <금정굴 이야기> 크라우드 펀딩 종료 (07.28)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