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승일 포스트 트라우마

  • [전승일 생각그림] <분향 焚香>

    2020.06.23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코로나19 프리즘> (05.31)

    2020.05.31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기획전>

    2018.09.23 by 미메시스TV

  • [역사의 한 컷 22] 제주 4.3 70주년, 미국의 책임을 묻다!

    2018.04.02 by 미메시스TV

  • 제주 4.3 70주년 특별전 <잠들지 않는 남도>

    2018.03.29 by 미메시스TV

  • [금정굴 연작] 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

    2018.03.20 by 미메시스TV

  • 충북 분터골 민간인 학살 사건

    2018.03.16 by 미메시스TV

  • <제노사이드(Genocide) 연작> 스케치

    2018.03.12 by 미메시스TV

  • 제6회 진실의힘 인권상 - 채의진

    2016.06.23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망자의 넋을 달래는 춤사위"

    2016.06.21 by 미메시스TV

  • [역사의한컷] "노동자의 어머니"

    2016.06.16 by 미메시스TV

  • 컴터 작업 공간 리세팅

    2016.06.14 by 미메시스TV

  • <80년대 연작> - "80년 5월 광주"

    2016.06.10 by 미메시스TV

  • <80년대 연작> - "87년 이한열 최루탄 피격"

    2016.06.08 by 미메시스TV

  • <80년대 연작> - "87년 6월 명동"

    2016.06.01 by 미메시스TV

  • 나의 친구들

    2015.12.24 by 미메시스TV

  • 고 '김근태' 4주기 추모전 도록

    2015.11.24 by 미메시스TV

  • 문병란 선생님

    2015.10.05 by 미메시스TV

  • 죽안거마(竹鞍車馬) 오토마타

    2015.10.01 by 미메시스TV

  • 고문후유증 화가 이상호

    2015.09.07 by 미메시스TV

  • 화가 '램브란트'

    2015.09.01 by 미메시스TV

  • 나는 예인(藝人)을 꿈꾸었다

    2015.08.24 by 미메시스TV

  • 아름다움을 생각하자!

    2015.08.05 by 미메시스TV

  • 못 박힌 인형

    2015.03.10 by 미메시스TV

  • <내가 만난 90년대> (감독: 전승일)

    2012.08.11 by 미메시스TV

[전승일 생각그림] <분향 焚香>

[전승일 생각그림] 인천 월미도 미군폭격 희생자 유족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6 2020. 6. 23. 14:33

전승일 <코로나19 프리즘> (05.31)

코로나19 그림 연작 디지털 페인팅_20x15cm_2020 코로나19 시대 예술을 통한 긍정의 치유력 확산은 역경 속에서 사람들을 다시 결속시키고 위로하며 삶의 꽃을 피어나게 한다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면 이제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시대 예술의 새로운 형태와 역할을 준비해야 한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6 2020. 5. 31. 09:56

전승일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기획전>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기획전 Blaze Carved in Darkness: Woodcut Movements in Asia 1930s – 2010s 88년에 만든 제 판화 가 전시도록에 들어갑니다 바로가기

전승일_전시_상영 2018. 9. 23. 18:40

[역사의 한 컷 22] 제주 4.3 70주년, 미국의 책임을 묻다!

[역사의 한 컷 22] 제주 4.3 70주년, 미국의 책임을 묻다! 제주 4.3 추념 야외조형물 참고사진출처: 제주 4.3 평화공원 2018년 올해는 제주 4.3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제주 4.3 사건은 미군정기에 발생하여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 7개월 동안 지속된, 우리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민간인 인명 피해가 많았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1947년 3.1절 기념 제주도대회에서 경찰의 발포로 6명의 민간인이 사망하자, 이에 대해 대대적인 민 · 관 합동 총파업이 일어났고, 경찰의 무차별 검속과 고문치사가 잇따랐다. 이러한 경찰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독선거 · 단독정부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5 2018. 4. 2. 10:54

제주 4.3 70주년 특별전 <잠들지 않는 남도>

제주 4.3 70주년 네트워크 프로젝트 "잃어버린 말" 참여작가 박소연, 박영균, 배인석, 양동규, 여상희, 오석훈, 전승일, 한항선, 홍진숙 전시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41길 41, 지하1층) 전시기간 : 2018. 03. 31(금) ~ 04. 29(일) 관람시간 : 월요일-일요일 10:00-18:00 관람문의 : 010-2311-2996 / bombomculture@gmail.com 페이스북 페이지 제주 4.3 70주년 프로젝트 - 잠들지 않는 남도 관련기사 은폐, 왜곡된 제주 4.3 의미를 찾아서 70주년 4.3 재조명한다 서울서 떠올리는 제주 4.3 진화하는 4.3 미술, 기억투쟁에서 평화상생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서 당당히 외치는 제주 4.3 4.3 70주년 특별전 포스트 트라우마 제주도립..

전승일_전시_상영 2018. 3. 29. 16:00

[금정굴 연작] 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

[역사의 한 컷 21] 고양 금정굴 민간인 학살 사건 2009년 고양 금정굴 학살 희생자 합동위령제에서 묵념을 올리고 있는 어느 청년 한국전쟁 시기 1950년 9.28 서울 수복 직후 경기도 고양 · 파주지역에서는 최소 153명 이상의 주민들이 단지 부역혐의가 의심되며, 그 가족이라는 이유로 어떠한 적법절차 없이 경찰 · 치안대 · 태극단 등에 의해 금정굴로 끌려가서 불법적으로 집단총살 당한 후, 수직 갱도 속에 암매장되었다. 금정굴은 고양시 황룡산과 고봉산이 이어지는 중간 지점 산책로에 위치해 있으며, 일제 강점기 때 만들어진 수직 폐광이다. 1995년 9월, 희생자 유족들은 금정굴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유해 발굴을 진행한 바 있는데, 발굴된 유해의 감정결과 대퇴골 153개, 두개골 74개가 확인되었으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2018. 3. 20. 14:18

충북 분터골 민간인 학살 사건

[역사의 한 컷 20] 충북 분터골 민간인 학살 사건 2007년 제1회 청주 청원 민간인 학살 희생자 합동위령제에 참석하여 흐느끼고 있는 유족 1950년 7월초 경찰과 국군은 충북 청주 청원지역 보도연맹원 700여 명과 청주형무소 재소자 300여 명 등 1,000여 명의 민간인을 불법적으로 집단학살한 후 충북 청원군 남일면 고은리 분터골 일대에 암매장하였다 2007년 7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사건 발생 57년 만에 공식적인 유해 발굴 사업을 실시하였으며 당시 분터골 일대에서는 70여 구의 희생자 유해와 수십 점의 탄피, 옷, 단추, 고무신 등 다수의 유품들이 수습되었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5 2018. 3. 16. 14:02

<제노사이드(Genocide) 연작> 스케치

Wacom Pen 도착 기념 스케치 한 점 타블렛은 Wacom Cintiq 22HD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5 2018. 3. 12. 11:07

제6회 진실의힘 인권상 - 채의진

제6회 진실의힘 인권상 결정문 잘 못된 시대를 만난 국민은 불행합니다. 잘 못된 국가를 만난 국민도 불행합니다. 분단과 전쟁의 역사는 우리와 똑같은 감정을 가진 숱한 사람들, 우리와 똑같은 가족을 가진 수많은 국민들을 까닭도 이유도 없는 죽음의 질곡 속에 난폭하게 몰아넣었습니다. 이어진 독재와 탄압의 칼날은 살아남은 유족들에게 죽음보다 더한 고통과 고문을 강요하였습니다. 우리는 한국전쟁의 시기에 온 한반도가 공산-자유, 좌-우 이념대결의 참혹한 폭풍 속에 놓였었음을 기억합니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목숨조차 부지하기 어렵던 그 무도한 시대, 상상도 할 수 없는 끔찍한 살상이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전 한반도가 살상의 나락으로 빠져들기 이전에 이미 제주, 여수순천, 문경 석달마을에서 ‘무고한’ 집단학살..

자료/자료_제노사이드 2016. 6. 23. 18:56

[역사의한컷] "망자의 넋을 달래는 춤사위"

"망자의 넋을 달래는 춤사위" 전승일 87년 6월 민주항쟁은 박종철 고문살인 조작·은폐 규탄 투쟁에서 시작되어 전두환의 반역사적 4·13 호헌 조치에 맞서 민주헌법과 대통령 직선제 쟁취를 향한 4·19 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시민항쟁'이었다 이 6월 항쟁의 '절정'에서 망자(亡者)의 넋을 달래는 진혼굿을 벌인 한 춤꾼이 있었다 바로 박종철 열사와 직격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에서 처연하게 춤사위를 펼친 이애주(서울대 사범대학) 교수이다 승무 예능 보유자 한영숙씨로부터 사사받은 이 교수는 승무에서 우러난 경기도당굿거리 진혼굿 춤을 통해 열사의 원혼을 위무하고 시대의 아픔과 함께 했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21. 11:40

[역사의한컷] "노동자의 어머니"

"노동자의 어머니" 전승일 1970년 11월 13일 한 청년 노동자가 청계천 평화시장 앞에서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몸에 석유를 끼얹고 분신했다 당시 22살이었던 그의 이름은 바로 '전태일'이다 그가 열악한 노동환경에 맞서 분신 항거 한 이후 청계천 평화시장에는 청계피복노동조합이 생겨났고 다른 공장들에도 노동조합이 결성되는 계기가 됐다 그리고 그의 분신은 노동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어 본격적인 노동운동의 시발점이 됐다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씨는 '노동자의 어머니'로 불리며 아들의 뜻을 이어 노동운동에 전념했고 2011년 9월 3일, 82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16. 19:04

컴터 작업 공간 리세팅

컴터 작업 공간 리세팅 Wacom Cintiq 22HD 모니터 타블렛 블루레이 플레이어 브리츠 스피커 스캐너 & 프린터 1394 외장하드 등등

day by day 2016. 6. 14. 18:45

<80년대 연작> - "80년 5월 광주"

"80년 5월 광주" 전승일 1980년 5월 27일, 계엄군에게 체포된 앳된 모습의 고등학생 1979년 전두환(당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 및 보안사령관)을 중심으로 하는 신군부 세력은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키고 정권을 장악하기 위해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한다 이에 5월 18일부터 광주 시민들은 계엄군의 무차별적인 폭력적 시위 진압과 잔인한 살육에 맞서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인다. 열흘 동안 치열하게 전개된 광주민중항쟁은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에서의 최후의 항전과 잔혹한 진압으로 막을 내린다 어린 학생에게까지 M16 소총을 겨누고 있는 계엄군의 폭력성을 포착한 그림의 원본 사진은 당시 김녕만 사진기자에 의해 80년 5월 27일 촬영되었다. 오마이뉴스 바..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10. 14:05

<80년대 연작> - "87년 이한열 최루탄 피격"

"87년 이한열 최루탄 피격" 전승일 1987년 6월 9일 '박종철 고문살인 은폐 규탄 및 호헌 철폐 6·10 국민대회'를 앞두고 교문 앞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직격 최루탄에 뒷머리를 맞고 피 흘리며 쓰러지는 연세대 학생 이한열 고 이한열 열사는 피격 후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한 복판에서 한 달여 동안 사경을 헤매다 7월 5일 22살의 나이에 사망했다 당시 사진기자였던 정태원에 의해 촬영된 피격 당시의 사진은 에 실리면서 전두환 군사독재정권의 폭력적인 시위진압의 잔인성을 여실히 드러나게 만들었다.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은 100만여 명의 추모 인파가 모인 가운데 1987년 7월 9일 '민주국민장'으로 치러졌다. 오마이뉴스 바로가기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8. 11:35

<80년대 연작> - "87년 6월 명동"

"87년 6월 명동" 전승일 87년 6월 ‘박종철 고문살인 조작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6·10 국민대회’를 마치고 명동성당 앞에서 연좌시위를 하고 있는 학생들 87년 1월 14일 박종철 고문살인 4월 13일 전두환 호헌 조치 대통령 특별담화 발표 6월 9일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등에 분노한 재야와 민주화 진영은 5월 27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하고 ‘호헌 조치 철회 및 직선제개헌 공동쟁취 선언’을 발표한다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일 날짜에 맞춰 개최된 6·10 국민대회 직후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면서 6월 15일까지, 명동성당에서 농성을 시작한 시위대는 많은 학생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았으며 6·10 국민대회가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져 불붙게 한 투쟁의 ..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4 2016. 6. 1. 22:08

나의 친구들

나는 '숙명'으로 예술을 생각한다 쉽지 않다 이번주에 도착한 나의 친구들~

day by day 2015. 12. 24. 12:19

고 '김근태' 4주기 추모전 도록

고 김근태 4주기 추모전 전시 도록

전승일_전시_상영 2015. 11. 24. 10:28

문병란 선생님

문병란 시인께서 추석 연휴 직전.. 25일 타계하셨습니다 이제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소서...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43538800560175007

day by day 2015. 10. 5. 20:55

죽안거마(竹鞍車馬) 오토마타

새로 준비하고 있는 오토마타 작품 감독 : 전승일 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 지원사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사진은 고종(1919)과 순종(1926) 장례식 때 등장한 실제 죽안거마 사진입니다

전승일_전시_상영 2015. 10. 1. 08:57

고문후유증 화가 이상호

“건강해져 해마다 옛 망월동서 걸개그림전 열고파” 화가 이상호씨. 사진 최성욱 다큐감독병마 속 첫 개인전 민중미술가 이상호씨 두 평 반 크기의 방에 놓인 목판이 눈에 띄었다. 지난 3일 아침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선덕사 3층 작업실에서 만난 화가 이상호(55)씨에게 목판화 이야기부터 물었다. 1987년 6월 항쟁 당시 완성한 (72×54㎝)라는 작품이다. 낫을 들고 죽창을 만드는 민초의 눈에 시대의 분노가 녹아 있다. “밤낮없이 시위 현장에서 싸우고 시간이 날 때마다 작업실로 가 나무에 새겼지요.” 이씨는 10~16일 광주시 동구 디에스갤러리에서 ‘역사의 길목에 서서’라는 주제로 첫 개인전을 연다. (1987) 등 판화와 걸개그림뿐 아니라 (1994), (2014) 같은 회화 등 모두 40여점의 작품을..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5. 9. 7. 09:01

화가 '램브란트'

빛의 마술사.. 화가 '램브란트' 당신은 왜 이토록 처연하고 슬픈 그림을 그렸습니까? 그의 말년 작품 (1664)...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5. 9. 1. 18:39

나는 예인(藝人)을 꿈꾸었다

“나는 예인(藝人)을 꿈꾸었다.예인은 자기 안에서 불멸을 길어 올리는 사람이다.목숨 걸고 자기 생의 바닥으로 내려가 존재의 근원을 찾는다.그들은 이 땅에 살았던 이들의 열망과 꿈을 현세로 불러와 자기 혼에 담는다..그들은 생래적으로 ‘이단자’이고 ‘유배자’이다.세속의 변방을 쓸쓸히 유랑하는 것으로 자기를 완성하고,불온하고 순정한 정신은 꽃으로 남아 사람들을 위로한다..” (임영태 소설 중에서..)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5. 8. 24. 19:34

아름다움을 생각하자!

항상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하자 그것이 내가 나의.. 패닉과 트라우마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서 힘겹지만 예술가의 삶을 오롯이 갈 수 있는 길이다 사진은 Maggie Taylor 작품

day by day 2015. 8. 5. 19:23

못 박힌 인형

상처인가?.. 날개인가?.. 이 작가 이름을 기억해두어야겠다 묘하고 강력하게 맘을 끌어 당기는 작품이다 Daniel Essig

자료/자료_아! 예술이네 2015. 3. 10. 22:19

<내가 만난 90년대> (감독: 전승일)

내가 만난 90년대 The 90 years when I experienced 감독 : 전승일 / 4분 / 실험 다큐멘터리 / DV / 흑백 / 2001 1990년 당시 여소야대 정국으로 궁지에 몰린 집권세력은 3당 합당으로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해나갈 발판을 만든다. 그리고 91년 한 대학생이 전투경찰에게 집단구타 당해 사망하고, 연이어 민주자유당 해체와 공안통치 종식을 외치며 젊은이들의 분신과 타살이 이어진다. 2001년 인사미술공간 기획초대전으로 열렸던 독립영상전 '디지털 드릴'을 위해서 만든 실험비디오 작품으로 90년대 초반, 8미리 비디오로 촬영된 서울 대학가와 시내 곳곳에서의 집회, 시위 현장을 인디밴드 '새봄에 핀 딸기꽃'의 음악 '별따기'에 맞춰 디지털 영상으로 편집, 재구성하였다.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전승일_다큐멘터리 2012. 8. 11. 18:54

추가 정보

인기글

  1. -
    -
    4.3 연작화 <동백꽃 지다>(강요배)

    2012.01.20 00:53

  2. -
    -
    벤샨 (Ben Shahn)

    2014.08.01 12:40

  3. -
    -
    히에로니무스 보스 그림

    2016.12.27 15:21

  4. -
    -
    펠릭스 누스바움 <수형자>

    2015.02.22 19:47

최신글

  1. -
    -
    전승일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프리즘> 여수국제미술제 상영

    전승일_전시_상영

  2. -
    -
    전승일 DV 시절

    day by day

  3. -
    -
    오토마타와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 전승일 (07.21)

    전승일_인터뷰_기사

  4. -
    -
    전승일 감독 <금정굴 이야기> 크라우드 펀딩 종료 (07.28)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