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7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황장애

  • 학살자 이승만

    2014.06.13 by 미메시스TV

  • 27년전 명동성당 앞

    2014.06.10 by 미메시스TV

  • [세월호만화] 꼭 다시 만나자..

    2014.04.21 by 미메시스TV

  • [세월호만화] 어디 있니, 얘들아...

    2014.04.19 by 미메시스TV

  • [세월호만화] 아! 꽃들이여..

    2014.04.18 by 미메시스TV

  • 고문피해자의 정신과적 진단 실태

    2014.04.07 by 미메시스TV

  • 전승일 만화가 데뷔

    2014.04.05 by 미메시스TV

  • 강경대는 싸우고 있다

    2014.04.01 by 미메시스TV

  • 책 <사법살인 - 1975년 4월의 학살>

    2014.03.29 by 미메시스TV

  • 기억과의 전쟁이다

    2014.03.23 by 미메시스TV

  • 나는 고체가 아니다

    2014.02.17 by 미메시스TV

  • 88년 전국 노동자대회

    2014.02.10 by 미메시스TV

  • Pink Floyd_Welcome to the Machine

    2014.01.18 by 미메시스TV

  • 김남주 "시인 전사"

    2014.01.14 by 미메시스TV

  • '꼬맹이'들..

    2014.01.09 by 미메시스TV

  • Pink Floyd_Wish you were here

    2013.11.25 by 미메시스TV

  • 두렵다~

    2013.11.19 by 미메시스TV

  • 편의점 도시락

    2013.11.13 by 미메시스TV

  • 형제복지원 "513명 사망"

    2013.11.10 by 미메시스TV

  • 누구나 걸릴수 있어요

    2013.11.07 by 미메시스TV

  • 자해_주디스 허먼

    2013.11.07 by 미메시스TV

  • 만화 <발작>

    2013.11.07 by 미메시스TV

  • 트라우마의 치유 1단계

    2013.11.06 by 미메시스TV

  • 자유 죽음

    2013.11.05 by 미메시스TV

  • 임희숙_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2013.10.31 by 미메시스TV

  • 눈물을 기억하세요

    2013.10.31 by 미메시스TV

  • <전쟁놀이 My War> 동영상

    2013.10.30 by 미메시스TV

  • 장희경_민들레처럼

    2013.10.29 by 미메시스TV

  • 옥탑 자취방 생활

    2013.10.29 by 미메시스TV

  • 약 먹기

    2013.10.29 by 미메시스TV

학살자 이승만

알고 계시지요? '한국전쟁'이 터졌을때..수도 서울을 버리고 제일 먼저 도망간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지요 뿐만 아니라 1950년 6월 28일..피난민으로 가득찬 한강 다리 폭파 명령을 내린 사람도 바로 "이승만"이지요 아비규환, 당시 한강 다리 위에 몇명이 있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적게는 500명, 많게는 1500명이 폭파로 끊어진 다리 위에서 비참하고 억울하게 죽어 갔습니다.. '짐승'이 "인간"을 학살한 것입니다 (한겨레 / 5월 26일 / 한홍구 교수 기고 / "세월호의 악마들, 대한민국의 악마들" 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6. 13. 20:51

27년전 명동성당 앞

27년전 명동성당 앞... 뜨겁고 아름답던 시절~!! 문익환 목사님의 절규 !!

day by day 2014. 6. 10. 20:31

[세월호만화] 꼭 다시 만나자..

꼭 다시 만나자...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2 2014. 4. 21. 21:55

[세월호만화] 어디 있니, 얘들아...

어디 있니, 얘들아...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2 2014. 4. 19. 22:49

[세월호만화] 아! 꽃들이여..

아! 꽃들이여...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2 2014. 4. 18. 00:59

고문피해자의 정신과적 진단 실태

고문 후유증은 만성적인 것으로 지속적인 치료적 관심을 요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특히 정신과적 진단에 관한 국제 연구는일반적으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집중되고 있다. 고문과 투옥을 경험한 피해자의 연구를 살펴볼 때, PTSD의 평생 유병률은 60%, 시점 유병률은 30%로 나타났다PTSD뿐 아니라 우울, 범불안, 신체화 장애도 주요하게 주목받았으며, 이들 장애의 공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최초 고문피해 이후 경과된 시간은 평균 '25.48년'으로최소 1년에서 최대 38년으로 나타났다 고문이 자행된 불법 구금일수는 최소 1일에서 최대 300일까지 평균 '32.52일'이었고고문 이후 투옥된 일수는 최소 0일에서 최대 6170일까지 평균 '1050...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4. 7. 00:43

전승일 만화가 데뷔

제가 준비하고 있는 "만화로 보는 대한민국 국가폭력 연대기 "가 2014년 4.9통일평화재단 공모사업 "네번째 동행"에 선정되었습니다~ 앞으로 약 8개월간의 그림 작업을 통해 올해 연말쯤 만화책으로 만들 예정입니다~ ▶ 4.9통일평화재단 http://www.49peace.org

day by day 2014. 4. 5. 23:47

강경대는 싸우고 있다

이내창 기념사업회 http://www.naechang.kr "사진전 3부" 중에.. 눈에 띄는 사진 한 컷 왼쪽에서 세번째 '판화그림'이 있는 하얀색 티셔츠 청년 제가 1991년에 파고 새기고 찍은 판화 입니다~

day by day 2014. 4. 1. 20:36

책 <사법살인 - 1975년 4월의 학살>

(천주교인권위원회 엮음 / 학민사 / 2001) 책의 뒤표지에는 소위 '인혁당 사건'이라 불리는1975년 4월에 집행된 사법살인의 희생자 8명의 사진이 실려 있다. 민청학련, 그리고 인민혁명당 사건... 참으로 오랜 시간 동안 입에 올리지 못했지만많은 이들의 가슴에 깊은 한으로 남았던 야만적 폭거였다. 인간의 존엄성과 보편적 권리를 수호하는 활동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천주교인권위원회'가 당시의 사건을 꼼꼼하게 재구성하고 기록하였다. 군사독재정권은 유신에 저항하는 학생과 민중들의 궐기를 민청학련의 책동으로 돌리고북한의 지령에 따라 학생들을 조종하는 '인혁당'이라는 가공의 조직을 만들었다. 특히 대법원 확정판결 후 불과 하루도 지나기 전에8명의 생명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한 인혁당 사건은 '사법사상 암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29. 21:46

기억과의 전쟁이다

(김동춘/사계절출판사/2013) "학살,고문 같은 가공할 만한 '국가폭력'은 피해자에게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긴다 학살은 단순히 사람의 생명권을 박탈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남은 가족들의 삶의 기반마저 송두리째 파괴하고, 인간으로서의 자존감과 삶의 의지를 박탈한다 '국가가 저지르는 범죄'는 학살과 인권침해의 피해 당사자에게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목격한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의 건강한 의식과 사회 참여 의지를 마비시키고 위축시킨다" (저자 서문 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23. 19:53

나는 고체가 아니다

나는 고체가 아니다 나는 사람이다 나는 생각을 하고, 표현을 하는 사람이다 스쳐 지나가는 바람에도.. 눈물을 흘리며, 웃음도 짓는 인간이다 나한테 함부로 대하지 말라 나한테 함부로 당신의 가치관을 강요하거나 적용하지 말라 나는 내가 살 것이며 나는 내가 죽을 것이다..

day by day 2014. 2. 17. 18:17

88년 전국 노동자대회

오늘 뉴스를 보면서 87년 6월 항쟁과 7, 8월 노동자 대투쟁 그리고 연이어 개최되었던 88년 11월 13일, 의 뜨거웠던 현장이 떠오릅니다 저들은 우리들의 "저항과 연대와 단결"을 두려워 합니다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1 2014. 2. 10. 21:49

Pink Floyd_Welcome to the Machine

(Pink Floyd / 1975) Welcome my son, welcome to the machine. Where have you been? It's alright we know where you've been. You've been in the pipeline, filling in time, Provided with toys and Scouting for Boys. You bought a guitar to punish your ma, And you didn't like school, and you know you're nobody's fool, So welcome to the machine. Welcome my son, welcome to the machine. What did you dream? ..

음악_Pink Floyd 2014. 1. 18. 01:29

김남주 "시인 전사"

지혜와 열정의 통일~.. 나의 칼 나의 피.. '영정' 그림 함께 그렸던게.. 어느덧 20년전 이네요..

day by day 2014. 1. 14. 21:48

'꼬맹이'들..

매일매일 목 안으로 털어 넣는 '꼬맹이'들.. 카세핀 있고요, 스틸녹스 있고요, 리보트릴 있고요, 이토프리드 도 있네요~

day by day 2014. 1. 9. 23:11

Pink Floyd_Wish you were here

Wish you were here (1975) So, so you think you can tell Heaven from Hell, Blue skys from pain. Can you tell a green field From a cold steel rail? A smile from a veil? Do you think you can tell? And did they get you to trade Your heros for ghosts? Hot ashes for trees? Hot air for a cool breeze? Cold comfort for change? And did you exchange A walk on part in the war For a lead role in a cage? How ..

음악_Pink Floyd 2013. 11. 25. 05:15

두렵다~

가족들과의 '연결감'이 끊어진 상황에서 지난 겨울은 "병원"에서 보냈고..이번 겨울은 "자취방"에서 혼자 보내야 한다 두렵다~... 나와 가장 가까웠던 '친구'는"즐거운 일"을 만들어보라고 하지만.. 그건 나의 '내면 속 고통'과 '현 상황'을 잘 모르고 하는 이야기 인간은 너무나 복잡하고 미묘한 존재이기에.. 나는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몸과 마음이 분리되어 어디로 가야 할지 잘 모를 때가 자주 찾아 온다~...

day by day 2013. 11. 19. 01:02

편의점 도시락

나의 '주식'.. "편의점 도시락" 상상마당 오토마타 강의 마치고 합류한 멋진 동료, 후배님들과의 "양고기 + 칭타오 맥주 + 고려촌주" 자리 덕분에.. 나의 '주식'은 유통기한이 하루를 지나버렸다.. 날 밝으면 고민하겠구나~ 먹을 것인지.. 버릴 것인지를...

day by day 2013. 11. 13. 22:22

형제복지원 "513명 사망"

전승일_그림 모음/전승일_그림_시즌1 2013. 11. 10. 02:40

누구나 걸릴수 있어요

경희대병원 8층 정신의학과 병동 복도...

자료/자료_정신장애 2013. 11. 7. 01:38

자해_주디스 허먼

자해는 죽음에 대한 의도라기 보다는 견디기 힘든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려는 시도이며 역설적이게도 많은 '트라우마 생존자'들에게 일종의 자기 보존 방식으로 작동한다 자해는 마음이 진정되고 안도감이 느껴질때까지 계속된다 신체적 고통이 정신적 고통을 대치한다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즐명하기 위하여 그리하는 것이다' (주디스 허먼)

day by day 2013. 11. 7. 01:22

만화 <발작>

만화 간질 발작을 앓고 있는 아들을 둔 한 가족의 이야기 병을 극복하려는 가족들의 노력과 고통.. 고단한 삶의 여정을 그려내 가족의 의미와 인간의 본질을 바라보게 하는 묵직한 인생의 기록~...

day by day 2013. 11. 7. 01:22

트라우마의 치유 1단계

"극단적인 '트라우마'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에게는섣불리 고통의 현실을 직면하라고 요구하는 원칙론적인 접근보다먼저 그들이 한숨을 돌리고, 심리적 안정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의 안정을 느끼지 못한 상태에서 '트라우마'에 직면하는 것은'피해자' 대부분을 고통스럽게 하는 불필요한 자극이 되기 쉽습니다 '트라우마'의 희생자들은 자신들의 정서적 고통을 진심으로 이해하고,자신들의 부적응적인 행동까지도 포용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하나라도 있을 때비로서 '안정감과 연결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안정감과 연결감'을 느낄 수가 있어야비로서 '트라우마'를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해'야말로 '치유'의 진정한 시작인 것입니다" (김준기 지음)

day by day 2013. 11. 6. 11:22

자유 죽음

"죽음이란 경멸받아 마땅한 조건 아래서 벌어진 경우에만 자유롭지 못한 죽음이다.아직 때가 무르익지 않았음에도 찾아온 죽음, 이는 겁쟁이의 죽음이다.인생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택한 죽음은 다르다.깨어있는 명료한 의식을 가지고 택한 죽음, 이것은 '자유죽음'이다. 자유롭게.. 의식적으로.. 급작스럽지 않게.." - 장 아메리(Jean Amery) 에 재인용된 '니체'의 글

day by day 2013. 11. 5. 23:59

임희숙_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노래: 임희숙 너를 보내는 들판엔 마른 바람이 슬프고 내가 돌아선 하늘엔 살빛 낮달이 슬퍼라 오래토록 잊었던 눈물이 솟고 등이 휠 것 같은 삶의 무게여 가거라 사람아 세월을 따라 모두가 걸어가는 쓸쓸한 그 길로 이젠 그 누가 있어 이 외로움 견디며 살까 이젠 그 누가 있어 이 가슴 지키며 살까 아 저 하늘의 구름이나 될까 너 있는 그 먼 땅을 찾아 나설까 사람아 사람아 내 하나의 사람아 이 늦은 참회를 너는 아는지

음악 2013. 10. 31. 11:19

눈물을 기억하세요

어제 경희대 병원 갔을때 벽면에 붙어 있던 그림.. 어느 고등학생의 솜씨이다~^ 작품설명 "눈물은 나의 슬픔이며,사람마다 받는 슬픔이 다르기 때문에무엇 때문에 슬픈지는 정하지 않겠습니다. 자신의 눈물을 기억해서다른 사람이 같은 눈물을 흘릴 때..닦아 주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표현하였습니다"

day by day 2013. 10. 31. 11:19

<전쟁놀이 My War> 동영상

2013년 전승일 감독 작품 국가폭력은 피해자들에게 엄청난 상처와 고통을 남기며, 우리 사회에 여전히 뿌리 깊이 박혀 있다.그 회복에는 전적으로 기억과 애도가 필요하며, 사회적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진실에 대해 발언하고,피해자의 고통이 완전히 인정받을 수 있는 공적인 장이 필요하다.본 작품은 각종 신문과 잡지에서 ‘추출’한 사진과 텍스트 이미지들의 ‘콜라주’를 통해 자본과 전쟁의 광기로 인한 혼란을 담아낸다.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전승일_애니메이션 2013. 10. 30. 03:24

장희경_민들레처럼

2005년 12월 'EBS 스페이스 공감' 공연실황 곡명 : 민들레처럼 시 : 박노해 / 작곡 : 조민하 노래 : 장희경

음악 2013. 10. 29. 21:47

옥탑 자취방 생활

옥탑 자취방 생활 7개월째.. 방이 좁은건지.. 책이 많은건지.. 아직도 대부분의 책들이 '꽁꽁' 묶여 있고그 틈 사이에서 잠을 잔다~ 하여.. 오늘은 동네 중고물품 가게에서 책장 2개를 사서우선 DVD 부터 작업실로 옮겼다~ 책장 2개를 4만원에 샀더니.. 작고 귀여운 조명기을 '덤'으로 주시네~^

day by day 2013. 10. 29. 21:46

약 먹기

카세핀정.. 스틸녹스정.. 리보트릴정.. 이토프리드정..이젠 목으로 넘어갈때 '비릿한' 느낌이 난다 이런 "정"들 이젠 정말 먹기 싫지만.. 안 먹으면 힘들어진다 어느 페친께서 일전에 이런 글을 올린적이 있지.. "외로움은 누구나 채워줄수 있지만.. 그리움은 사랑했던 사람만이 채워줄수 있다" 라고..

day by day 2013. 10. 29. 21: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