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7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日위안부피해자 만화기획전

    2014.02.09 by 미메시스TV

  • 르포만화 <먼지 없는 방>, <사람 냄새>

    2012.07.14 by 미메시스TV

  • 젊은 만화가들은 왜 현실에 눈을 돌렸나

    2012.07.11 by 미메시스TV

  • 만화로 읽는 "가자 지구"의 비극

    2012.07.04 by 미메시스TV

  • 만화, 다큐를 만나다

    2012.06.23 by 미메시스TV

  • 만화 <노근리 이야기>(박건웅)

    2012.06.18 by 미메시스TV

日위안부피해자 만화기획전

日위안부피해자 만화기획전 내일부터 부천 앙코르'지지 않는 꽃' 품에 돌아오다 ▲ '지지 않는 꽃' 포스터, 최인선 그림 19명 작가가 그린 아픈 사연 프 앙굴렘축제서 세계와 소통 국내·외 응원 메시지 출판도 제41회 프랑스 앙굴렘국제만화축제에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한국만화기획전: 지지 않는 꽃'이 18일부터 3월 16일까지 한국만화박물관을 시작으로 국내 앙코르전에 나선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 한국만화기획전:지지 않는 꽃' 개막식에는 만화를 사랑하는 국회의원 모임의 원혜영 의원과 김만수 부천시장, 만화가 이현세·박재동·김광성,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희재 이사장, 오재록 원장 등이 참석해 개막을 축하할 예정이다. '지지 않는 꽃'이라는 주제의 이번 앙코르 전시는 이현세, 김광성, 박재..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2014. 2. 9. 02:32

르포만화 <먼지 없는 방>, <사람 냄새>

언론 접근 금지! 도대체 무슨 만화이기에…[프레시안 books] · 르포 만화. 그러니까 르포르타주 만화를 처음 접한 것은 내 어린 시절, 유대인 아버지가 나치 독일의 학살로부터 살아남는 과정을 그린 아트 슈피겔만의 걸작 (권희종·권희섭 옮김, 아름드리미디어 펴냄)를 통해서였다. (슈피겔만은 1986년 발간된 이 작품을 통해 1992년 만화로서는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가족 중 누가 사왔는지, 아니면 선물 받았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쨌건 는 어느 날부터 우리 집 서가에 꽂혀 있었다. 심심하던 유년기의 나는 책이라면 가리지 않고 읽었다. 를 읽게 된 것에도 별 계기가 없다. 아무 책이나 집어 들었던 것이다. 기분 나쁜 표지였다. 처음 책장을 넘길 때의 감상은 정확히 기억이 나질 않는다. 다만..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2012. 7. 14. 15:02

젊은 만화가들은 왜 현실에 눈을 돌렸나

촛불시위 이후, 젊은 만화가들은 왜 현실에 눈을 돌렸나 르포서 풍자까지 다양한 형식의 반란 만화가 박건웅씨는 2008년 5월을 잊을 수 없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저지’를 위한 촛불시위 현장에 있던 그는 시위 도중 수십명의 전경에게 군홧발 세례를 받았다. 아스팔트에 머리를 부딪힌 뒤 정신을 잃은 그가 깨어난 곳은 병원이었다. 뇌진탕 증세를 보인 그는 4일간 입원했고 집에 돌아와서도 내내 잠만 잤다. 이후 6개월간 아무것도 그릴 수 없었다. 펜을 손에 들면 무기력감과 우울증이 밀려왔다. 그러던 어느 날 꿈을 꿨다. 하나님 믿고 회개한 연쇄살인범, 성폭행범, 고문기술자, 부정하게 돈을 모은 부자가 천국에 가서 그곳을 엉망으로 만들었다. 반면 믿음이 부족하다는 판정을 받거나 난장판이 된 천국을 탈출한 사람들..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2012. 7. 11. 16:35

만화로 읽는 "가자 지구"의 비극

[신간탐색]만화로 읽는 가자 지구의 비극2012 02/14ㅣ주간경향 962호 조 사코 지음·정수란 옮김·글논그림밭·2만5000원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자행한 홀로코스트(유대인 학살)는 이스라엘 건국의 정당성을 대변해온 강력한 역사적 알리바이였다. 그러나 한 시절 처참하게 핍박당했다는 사실이 타 민족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구실이 될 수 있는 것일까. 이 점에서 팔레인스타인 문제는 이스라엘 최대의 역사적 아킬레스건이기도 하다. 지중해의 섬나라 몰타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 받은 만화작가 조 사코는 이스라엘의 아픈 부분을 가장 예리하게 들쑤셔온 사람들 중 하나다. 날카로운 문제의식과 성실한 현장취재를 바탕으로 분쟁지역 르포 만화를 그려온 그는 1993~1995년 사이에 발표한 9부작 연작 만화 으로 ..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2012. 7. 4. 14:41

만화, 다큐를 만나다

2012.5.30(수) 03:00 편집 만화, 다큐를 만나다 거리를 감시하는 탱크와 아파치 헬기의 굉음이 일상화된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를 담담히 보여준다. 1960년대 도쿄 근교의 시골 마을이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 후보지가 된 후 어떻게 피폐해졌는지를 다룬다. 전형적인 다큐멘터리나 논픽션의 소재들 같지만 아니다. ‘웃음의 매체’로 생각하기 쉬운, ‘만화책’에 나오는 내용이다. 올해 초 출간된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비망록’(조 사코·글논그림밭)과 ‘우리마을 이야기’(오제 아키라·길찾기)는 꼼꼼한 취재를 바탕으로 사실을 기록한 만화다. 두 작품에서 보듯 현실을 고발하거나 사회성 짙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다큐멘터리 만화’가 2010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출간되고 있다. ‘대재앙’이라는 뜻의 ‘메즈 예게른’(파..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2012. 6. 23. 23:52

만화 <노근리 이야기>(박건웅)

노근리 이야기 박건웅(지은이), 정은용 / 새만화책 / 2006, 2011 실화 소설 를 원작으로 노근리 피난민 학살 사건을 만화로 재구성한 책이다. 작품 속에 생존자들의 증언과 '노근리 학살 사건 상황도' 등을 통해 당시 사건을 생생하고 일목요연하게 전달한다. 2010년은 한국전쟁 발발 60주년, 노근리사건 발생 60주년이 되는 해였다. 여전히 전쟁 이후의 역사전쟁과 인권전쟁은 종식되지 않았고, 그 불길은 타오르고 있다. 1부가 정은용(노근리사건대책위원회 위원장)의 시선을 통해 6.25 전쟁의 시작과 전개, 피난, 가족의 이별과 생사의 엇갈림, 부산의 피난민 수용소에서 재회한 부인의 입을 통해 알게 된 아들과 딸의 비참한 죽음, 그리고 더불어 드러나게 되는 노근리 쌍굴다리에서의 미군 만행의 진상 등으로..

자료/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2012. 6. 18. 19:1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